맨위로가기

로마 개선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개선식은 로마 공화정 시대에 군사적 업적을 달성한 장군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영예였다. 개선 장군은 전차를 타고 로마 시내를 행진하며 전리품과 포로들을 과시하고, 유피테르 신전에 제물을 바쳤다. 개선식은 장군의 권위를 높이고 로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제정 시대에는 황제의 특권이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로마 개선식이 부활하여 왕과 유력자들의 통치에 대한 이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종교 - 게니우스 로키
    게니우스 로키는 고대 로마에서 장소의 수호신을 뜻하는 말로, 현대에는 장소의 고유한 분위기나 역사적 의미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건축 및 도시 설계의 철학적 근거가 되고, 아시아 전통 신앙이나 현대 판타지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 고대 로마의 종교 - 폰티펙스 막시무스
    폰티펙스 막시무스는 고대 로마의 최고 사제직으로 종교 의례, 달력 관리, 법률 제정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로마 제정 시대에는 황제가 겸임하다가 기독교 공인 이후 교황에게 그 권한이 이관되었다.
로마 개선식
개요
에밀리우스 파울루스의 개선식
에밀리우스 파울루스의 개선식
유형고대 로마의 종교적 및 정치적 의식
목적군사적 성공을 기리고 신에게 감사를 표함
시기중요한 군사적 승리 후
주최자로마 원로원과 로마 시민
참석자개선 장군
로마 군인
포로
로마 시민
의식 과정
시작개선 장군은 군대와 포로들을 이끌고 로마 시로 행진
경로일반적으로 마르스 광장에서 시작하여 포로 로마노를 거쳐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으로 향함
주요 활동희생 제물 봉헌
개선 장군의 연설
군인들의 환호
포로들의 행렬
상징
개선 장군자줏빛 토가
월계관
군대개선 행렬 참여
전리품 전시
포로굴욕적인 모습으로 행렬에 참여
역사적 중요성
정치적 의미개선 장군의 권위와 위상 강화
로마의 군사적 우월성 과시
사회적 의미로마 시민들에게 자긍심과 애국심 고취
기타 정보
관련 용어오바티오 (Ovatio) (소규모 개선식)
아케로티우스 (Acherontius) (개선식에 참여한 죄수)
현대적 유사 의식군사 퍼레이드, 개선 기념 행사

2. 배경과 의식

로마 개선식은 단순한 군사 퍼레이드를 넘어 종교적, 정치적 의미를 지닌 복합적인 행사였다. 개선식은 종교 축제와 관련 없이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시기에 로마력의 특정 날짜에 맞춰 거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전통적으로 개선식이 열리는 날에는 모든 신전이 개방되었는데, 이는 로마의 모든 신들이 공동체적으로 참여하는 의식으로 여겨졌다.[17]

개선식 날짜가 특정 종교 축제일이나 기념일과 겹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우연일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계획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르스 축제일이나 폼페이우스의 생일과 같은 날에 개선식이 거행되기도 했다.[17]

2. 1. 개선 장군 (vir triumphalis)

로마 공화정 시대에 특별한 군사적 업적을 달성한 장군에게는 '개선 장군'(vir triumphalis)이라는 칭호와 함께 최고의 영예가 주어졌다. 개선 장군은 사실상 "하루 동안의 왕"이자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졌다.[1] 그는 고대 로마 왕정과 유피테르 카피톨리누스 조각상과 관련된 왕위의 상징인 자주색과 금색의 "토가 픽타", 월계관, 붉은 부츠를 착용하고, 로마 최고신의 모습을 따라 얼굴을 붉게 칠했다.[1] 개선 장군은 네 마리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로마 시내를 행진하여 카피톨리누스 신전으로 향했다. 그의 전리품과 포로들이 행렬의 선두에 섰고, 군대가 그 뒤를 따랐다. 카피톨리누스 신전에 도착한 개선 장군은 두 마리의 흰 황소를 유피테르에게 제물로 바치고, 유피테르 조각상 발치에 승리의 증표를 놓아 개선식을 로마 원로원, 시민, 그리고 신들에게 헌정했다.[1]

개선식의 중심은 장군 자신이었다. 이 의식은 그를 일시적이나마 모든 평범한 로마인보다 높은 존재로 만들었으며, 이는 극소수에게만 주어지는 기회였다.[6]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시대부터 개선 장군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반신 헤라클레스와 연결되었다.[6][7][8] 그의 호화로운 개선 전차는 구경꾼들의 시기심(''인비디아'')과 악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적으로 장식되었다.[9][10] 어떤 기록에서는 동반자 또는 공공 노예가 때때로 그의 필멸성을 상기시켰다고 한다(''메멘토 모리'').[11]

2. 2. 개선식의 날짜

개선식은 로마력의 특정 날짜에 맞춰 거행되었으며, 종교 축제와는 관련 없이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시기에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전통적으로 개선식이 열리는 날에는 모든 신전이 개방되었는데, 이는 로마의 모든 신들이 공동체적으로 참여하는 의식으로 여겨졌다.[17]

개선식 날짜가 특정 종교 축제일이나 기념일과 겹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우연일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계획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르스 축제일이나 폼페이우스의 생일과 같은 날에 개선식이 거행되기도 했다.[17]

2. 3. 장군의 역할과 상징

개선식의 중심은 장군 자신이었다. 이 의식은 그를 일시적이나마 모든 평범한 로마인보다 높은 존재로 격상시켰으며, 이는 극소수에게만 주어지는 기회였다.[6]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시대부터 개선 장군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반신(半神) 헤라클레스와 연결되었다.[6][7][8]

개선 장군은 고대 로마 왕정과 유피테르 카피톨리누스 조각상과 관련된 징표들을 착용했는데, 자주색과 금색의 "토가 픽타", 월계관, 붉은 부츠, 그리고 로마 최고신의 붉게 칠해진 얼굴이 그것이었다.[1] 그는 네 마리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도시를 행진하여 카피톨린 유피테르 신전으로 향했다.[1]

그의 호화로운 개선 전차는 구경꾼들의 시기심(''인비디아'')과 악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부적으로 장식되었다.[9][10] 어떤 기록에서는 동반자 또는 공공 노예가 때때로 그의 필멸성을 상기시켰다고 한다 (''메멘토 모리'').[11]

3. 행렬 (폼파)

로마의 초기 "개선식"은 승리한 장군과 그의 군대가 전리품을 가지고 도시로 돌아와 신들에게 바치는 단순한 승리 행진이었다. 로마 왕정 시대의 전설적인 개선식이나 이후의 반(半)전설적인 개선식도 마찬가지였으며, 당시 왕은 로마의 최고 행정관이자 전쟁 지도자였다. 로마의 인구, 권력, 영향력, 영토가 증가함에 따라 개선 행렬의 규모, 길이, 다양성, 사치스러움도 증가했다.

개선식 행렬(''폼파'')은 새벽 이전에 마르스 광장에서 시작되어 카피톨리누스 신전까지 이어졌다. 이 행렬은 매우 길고 느렸으며, 가장 긴 행렬은 며칠씩 지속되기도 했다.[12] [13]

3. 1. 행렬의 구성 및 순서

개선 행렬은 아마도 새벽 이전에 마르스 광장에서 소집되었을 것이다. 예상치 못한 지연과 사고를 제외하면, 최소한 느린 걸음으로 움직였으며, 최종 목적지인 카피톨리누스 신전까지 가는 동안 계획된 여러 번의 정차를 반복했을 것이다. 카피톨리누스 신전까지의 거리는 4km가 조금 안 된다. 개선 행렬은 악명 높을 정도로 길고 느렸다.[12] 가장 긴 행렬은 2~3일 이상, 어쩌면 그 이상 지속될 수 있었으며, 어떤 행렬은 이동 거리보다 더 길었을 수도 있다.[13]

일부 고대 및 현대 자료는 상당히 표준화된 행렬 순서를 제시한다.

순서구성
1사로잡힌 지도자, 동맹국, 병사(때로는 그들의 가족)들이 쇠사슬에 묶여 행진했다. 그들 중 일부는 처형되거나 전시될 운명이었다.
2노획된 무기, 갑옷, 금, 은, 조각상, 진귀하고 이국적인 보물들이 전쟁의 중요한 장소와 에피소드를 묘사한 그림, 장면, 모형과 함께 그 뒤를 따랐다.
3로마 원로원 의원과 행정관들이 모두 걸어서 행진했다.
4붉은 전쟁복을 입고 월계관으로 장식된 집정관의 파스케스를 든 장군의 리토르들이 따랐다.
54마리 말이 끄는 전차를 탄 장군. 동반자나 공공 노예가 그와 함께 전차를 탈 수도 있었고, 어떤 경우에는 그의 막내 자녀들이 함께 타기도 했다.
6부관들과 장성한 아들들은 근처에서 말을 타고 갔다.
7무장하지 않은 병사들은 토가와 월계관을 쓰고 "이오 트리움페!"를 외치며 장군을 비웃는 외설적인 노래를 불렀다.
8행렬 어딘가에는 제물을 바치기 위해 두 마리의 흠 없는 흰 소가 인도되었으며, 소들은 화환으로 장식되고 금빛 뿔을 달고 있었다. 이 모든 것은 음악, 향 연기, 꽃 뿌리기를 동반했다.[14]



행렬의 기반 시설과 관리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의심할 여지 없이 막대한 비용은 부분적으로 국가에서 부담했지만, 대부분은 장군의 전리품으로 충당되었으며, 대부분의 고대 자료는 이에 대해 자세하고 믿기 어려운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며 언급하고 있다. 이 휴대 가능한 부는 처분된 후 로마 경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 옥타비아누스가 이집트를 상대로 거둔 개선식에서 들여온 자금은 금리 하락과 토지 가격의 급등을 촉발했다.[15] 고대 자료에는 행렬의 물류에 대한 언급은 없다. 며칠에 걸친 행렬에서 병사와 포로들이 어디에서 자고 먹을 수 있었는지, 또는 이 수천 명의 사람들, 관람객들이 카피톨리누스 신전에서의 최종 의식을 위해 어디에 배치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16]

3. 2. 행렬 경로

행렬(''폼파'')은 아마도 새벽 이전에 마르스 광장에서 소집되었을 것이다. 거기에서 예상치 못한 지연과 사고를 제외하면, 최소한 느린 걸음으로 움직였으며, 최종 목적지인 카피톨리누스 신전까지 가는 동안 계획된 여러 번의 정차를 반복했을 것이다. 카피톨리누스 신전까지의 거리는 4km가 조금 안 된다. 개선 행렬은 악명 높을 정도로 길고 느렸다.[12] 가장 긴 행렬은 2~3일 이상, 어쩌면 그 이상 지속될 수 있었으며, 어떤 행렬은 이동 거리보다 더 길었을 수도 있다.[13]

다음 개략도는 "일부 또는 많은" 개선식의 경로를 나타내며, 표준적인 현대적 재구성에 기반한다.[17] 원래의 경로 또는 전통적인 경로는 도시의 많은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인해, 또는 때로는 선택에 의해 어느 정도 변경되었을 것이다. 시작 장소(마르스 광장)는 도시의 신성한 경계(''포메리움'') 밖에 위치해 있었으며, 테베레 강의 동쪽 제방에 접해 있었다. 개선 행렬은 ''개선문(Porta Triumphalis)''(개선문)을 통해 도시로 들어갔고,[18] ''포메리움''을 건너면서, 장군은 로마 원로원집정관에게 지휘권을 넘겼다. 행렬은 플라미니우스 경기장 부지를 통과하여 카피톨리노 언덕 남쪽 기슭과 ''벨라브룸''을 지나 ''개선로(Via Trionfale)''(개선로)[19]를 따라 ''키르쿠스 막시무스''로 향했으며, 아마도 툴리아눔에서 처형될 운명의 포로들을 내려놓았을 것이다.[20] 이후 ''신성 가도''와 로마 포룸으로 들어갔다. 마지막으로, 카피톨리노 언덕을 올라 유피테르 카피톨리누스 신전에 도달했다. 제물과 봉헌이 끝나면 개선 장군이 후원하는 연회, 경기, 기타 오락 행사로 행렬과 관중들이 흩어졌다.

4. 연회, 경기, 오락

대부분의 개선식에서 장군은 전리품으로 얻은 자신의 몫으로 개선식 이후의 연회를 지원했다. 백성을 위한 연회와 엘리트를 위한 훨씬 더 호화로운 연회가 있었으며, 일부 연회는 밤 대부분 동안 계속되었다.[21] 디오니시우스는 로물루스의 개선식에서 가장 원시적인 "연회"를 제공하여 당시의 사치스러운 개선식 연회와 대조를 이룬다. 즉, 평범한 로마인들이 "환영"으로 음식 테이블을 차리고, 귀환하는 군인들이 지나가면서 술과 음식을 먹는 방식이었다.[21] 바로는 그의 이모가 기원전 71년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의 개선식을 위해 5,000마리의 솔개를 공급하여 20000세스테르티우스를 벌었다고 주장한다.[22]

일부 개선식에는 전투 전 또는 전투 중 승리를 위해 도움을 요청하면서 장군이 신에게 맹세한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루디가 포함되었다.[23] 공화정 시대에는 개선 장군이 비용을 지불했다. 마르쿠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는 아이톨리아 동맹에 대한 승리를 위해 "루디"를 맹세하고, 개선식에서 10일 동안의 경기를 치렀다.

5. 기념

대부분의 로마인들은 개선식을 직접 볼 기회가 없었지만, 개선식의 상징성은 로마인의 상상력과 물질 문화에 스며들었다.[24] 개선식은 여러 방식으로 기념되었는데, 개선 장군들은 자신의 업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주화를 발행하거나 기념물을 세웠다. 또한 개선 장군만이 착용할 수 있는 특별한 복식과 장식이 있었으며, 이는 특별한 장례식에서도 사용되었다.

공화정 시대에는 개선 장군이 개선식 당일에만 개선 장식물을 착용했지만,[26] 제정 시대에는 황제가 자신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개선 장식을 착용하고, 자신을 신격화하여 황제 숭배의 중심이 되었다.

5. 1. 기념물과 주화

개선 장군들은 개선식의 명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특별한 주화를 주조하여 유통시켰다. 폼페이우스의 세 번의 개선식을 기념하는 주화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그 중 하나는 아우레우스(금화)로, 아프리카를 상징하는 월계관으로 둘러싸인 폼페이우스의 옆모습과 그의 칭호인 "마그누스"("위대한 자"), 그리고 점술(augur)의 상징인 리투스(lituus)와 제물 항아리가 새겨져 있다. 뒷면에는 개선 전차를 탄 집정관 폼페이우스와 승리의 여신(Victoria)이 묘사되어 있다.[24] 개선 데나리우스(은화)에는 폼페이우스의 점술가 지팡이와 항아리, 그리고 그가 획득한 세 개의 전리품이 새겨져 있다. 또 다른 주화는 "세계 정복"을 상징하는 개선관으로 둘러싸인 지구본과 로마의 곡물 공급을 보호했음을 보여주는 곡물 이삭을 보여준다.[24] 술라의 지지자였던 루키우스 만리우스 토르콰투스가 주조한 주화는 폰토스 왕국의 미트리다테스 6세에 대한 술라의 승리를 기념하며, 술라의 전설과 함께 전차를 탄 장군을 묘사한 사두 마차가 새겨져 있다. 제국 시대에는 황제들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개선문을 묘사한 주화가 발행되기도 했다. 15-16 CE에 독일에서 게르마니쿠스의 업적을 기념하는 주화에는 티베리우스가 사두 마차를 탄 모습이 묘사되었다.[25]

개선식은 기념비적인 공공 사업의 건설과 헌정을 통해 기념되기도 했다. 기원전 55년, 폼페이우스는 로마 최초의 석조 극장인 폼페이우스 극장을 로마 시민들에게 선물로 개장했는데, 이는 그의 전리품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극장의 갤러리와 열주 회랑은 전시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그의 개선식에서 운반된 조각상, 그림, 기타 전리품이 전시되었을 것이다.[28] 폼페이우스의 수호 여신 승리의 비너스(Venus Victrix)를 위한 새로운 신전이 있었고, 그는 승리의 비너스를 보여주는 주화를 발행했다.[29]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비너스를 수호신이자 신성한 조상으로 여겨, 그녀를 위한 새로운 신전에 자금을 지원하고 기원전 46년의 4중 개선식에서 이를 헌정했다.

카이사르의 상속자이자 로마 최초의 황제인 아우구스투스는 악티움의 그리스 해안에 거대한 개선 기념비를 세웠다. 이 기념비는 안토니우스와 이집트에 대한 그의 결정적인 해상 전투 장면을 내려다보는 위치에 있었으며, 해군 충각을 가진 이집트 전함의 청동 부리가 해안 벽에서 돌출되었다. 제국 도상학은 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황제와 신을 점점 더 동일시했다. 티투스 개선문(도미티아누스가 건설)의 조각된 패널은 예루살렘 포위 이후 티투스베스파시아누스의 유대인에 대한 공동 개선식을 기념하며, 예루살렘 성전에서 빼앗은 포로와 보물로 이루어진 개선 행렬을 묘사했다. 이 중 일부는 콜로세움 건설 자금으로 사용되었다. 또 다른 패널은 신격화된 티투스의 장례식과 신격화를 보여준다. 이전에 원로는 티투스에게 같은 승리 또는 개선을 기념하기 위해 키르쿠스 막시무스에 3중 아치를 투표했다.[30]

5. 2. 개선 장식과 장례

공화정 전통에 따르면, 개선 장군은 개선식 당일에만 개선 장식을 착용할 수 있었다.[26] 이후 이 장식은 가문의 집에 전시되었고, 특별한 장례식에서 배우들이 개선 장군과 그의 조상들을 연기할 때 사용되었다.[26] 폼페이우스는 원형 경기장에서 개선 월계관을 착용하는 특권을 얻었지만, 대중의 반발을 샀다.[27]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개선 장식을 "언제 어디서나" 착용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는데,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 그가 왕정을 부활시키려 한다는 의심을 샀고, 결국 그의 암살을 정당화하는 명분 중 하나가 되었다.[26]

제정 시대에 들어서면서 황제들은 개선 장식을 착용하여 자신의 높은 지위와 권위를 나타냈고, 더 나아가 자신을 로마의 신, 그리고 제국의 질서와 동일시했다. 이는 제국 숭배의 핵심적인 특징이었다.[26]

6. 개선식 수여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로마 원로원만이 개선식을 허가할 수 있었다. 개선식은 뛰어난 군사적 공로에 대해 주어졌으며, 원로원은 공식적인 행렬에 대한 비용을 지불했다. 원로원과 민회는 국가 재정을 통제하여 장군에게 상을 주거나 제재를 가했다. 일부 개선식은 즉시 허가되었지만, 장군이 원로원을 거치지 않고 직접 민중에게 호소하여 강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로마 정치는 경쟁, 동맹 변화, 뒷거래, 뇌물 수수 등으로 악명이 높았다.[31] 원로원은 개선식의 전통, 선례, 적절성, 그리고 장군의 정치적, 군사적 권력과 인기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렸다. 원로원이 "개선식 법"을 적용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32][33]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단일 전투에서 적어도 5,000명 이상의 적을 죽여야 한다는 법이 있었다고 추론했다.[34]

제정 시대에는 개선식이 제국의 권위와 정당성을 보여주는 정치적 행사로 변모했다.

6. 1. 원로원의 역할과 절차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전통에 따르면, 로마 원로원만이 개선식을 허가할 수 있었다.[31] 개선식을 원하는 장군은 원로원에 요청서를 보내고 보고해야 했다. 공식적으로 개선식은 뛰어난 군사적 공로에 대해 주어졌으며, 이 조건과 다른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국가가 행사에 비용을 지불했다. 이는 시대와 경우에 따라 달랐던 것으로 보이며, 적어도 원로원은 공식적인 행렬에 대한 비용을 지불했다.

대부분의 로마 역사가들은 원로원의 공개 토론과 투표에 따른 결과에 중점을 두었으며, 그 합법성은 민회의 승인을 받았다.[31] 따라서 원로원과 민회는 국가의 금고를 통제하고 장군에게 보상하거나 제재했다. 일부 개선식은 최소한의 토론으로 즉시 허가된 것으로 보인다. 어떤 경우에는 거부되었지만, 장군이 원로원을 거치지 않고 직접 민중에게 호소하고 사비를 들여 공공 경기를 약속하며 강행되기도 했다. 다른 개선식은 무산되거나, 끊임없는 논쟁 끝에 간신히 허가되었다.

원로원 의원과 장군 모두 정치인이었고, 로마 정치는 경쟁, 변화하는 동맹, 뒷거래, 공개적인 뇌물 수수로 악명이 높았다.[31] 원로원의 논의는 개선식의 전통, 선례, 적절성에 달려 있었을 것이고, 덜 드러나지만 더 불안하게는 장군의 정치적, 군사적 권력과 인기의 정도, 그리고 그의 추가적인 경력을 지원하거나 방해하는 것의 가능한 결과에 달려 있었을 것이다. 원로원이 결정을 내릴 때 규정된 일련의 "개선식 법"을 적용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32][33]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실제 관행에 대한 논쟁적인 역사적 기록에서 다양한 "개선식 법"을 추론했다. 여기에는 장군이 단일 전투에서 적어도 5,000명을 죽여야 한다는 법과, 그의 주장이 진실임을 맹세해야 한다는 법이 포함되었다. 이 두 법이나 개선식과 관련된 다른 법에 대한 증거는 남아 있지 않다.[34]

6. 2. 소규모 개선식 (오바치오)

장군에게는 오바치오로 알려진 "소규모 개선식"이 허용될 수 있었다. 소규모 개선식에서 장군은 군대 없이, 집정관의 토가를 입고 비너스의 몰약 화관을 쓰고 걸어서 도시로 들어갔다.[35]

기원전 211년, 원로원은 마르쿠스 마르켈루스가 카르타고인과 그들의 시칠리아-그리스 동맹에 대한 승리 후에 요청한 개선식을 거절했는데, 그의 군대가 여전히 시칠리아에 주둔하고 있어서 그와 합류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원로원은 그에게 감사제(수플리키오)와 오바치오를 제안했다. 그 전날, 마르켈루스는 알바노 산에서 비공식적인 개선식을 거행했다. 그의 오바치오는 개선식의 규모였다. 여기에는 시라쿠사 포위전을 보여주는 대형 그림, 포위 공격용 무기 자체, 노획된 식기, 금, 은, 왕실 장식품, 그리고 시라쿠사가 유명했던 조각상과 호화로운 가구가 포함되었다. 그의 카르타고인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8마리의 코끼리가 행렬을 이끌었다. 그의 스페인과 시라쿠사 동맹군은 금 화관을 쓰고 선두에 섰다. 그들은 로마 시민권과 시칠리아의 토지를 받았다.[35]

기원전 71년, 크라수스스파르타쿠스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오바치오를 받았고, 유피테르의 "개선" 월계관을 착용함으로써 그의 명예를 높였다.[36] 오바치오는 개선식과 함께 ''개선식 명부''에 기록되어 있다.

7. 변천

개선식 기록의 세그먼트 XX. 제1차 포에니 전쟁 부분


개선식 기록(파스티 트리움파레스, 또는 악타 트리움파리아)은 아우구스투스 황제 통치 시기인 기원전 12년경 로마 포룸에 세워진 석판이다. 이 석판에는 개선식을 실시한 장군의 이름, 부친과 조부의 이름, 승리한 상대 또는 장소, 개선식 실시일이 기록되어 있다. 일부 결손이 있지만, 기원전 753년의 반신화적인 로물루스의 개선식부터 기원전 19년프로콘술인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en)의 개선식까지 기재되어 있다[126]. 아우구스투스의 파스티 단편에도 로마와 이탈리아 반도의 속주에서의 개선식이 기록되어 있어, 보완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127].

많은 고대 역사 기록도 개선식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대부분은 지도자의 도덕적인 교훈을 알리기 위해 쓰여졌으며, 개선식 진행 과정, 퍼레이드, 관례,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한 정확한 기술은 적다. 이러한 상세 기록의 부족으로 인해, 서로 다른 시기의 다양한 불완전한 기록을 이용하여 일반화된 (그리고 틀릴 수도 있는) 개선식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이 고작이다.

7. 1. 기원과 왕정 시대

개선식의 기원과 발전은 불분명하다. 로마 역사가들은 첫 번째 개선식을 신화적인 과거로 소급했다. 어원학자들은 병사들의 "triumpe" 구호가 그리스어 "thriambus"(θρίαμβος)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했다.[39] 플루타르코스와 일부 로마 자료는 최초의 로마 개선식을 로마의 첫 번째 왕 로물루스에게서 찾았는데, 그는 카에니넨세스의 아크론 왕을 물리친 것이 기원전 753년 로마 건국과 동시대라고 여겨졌다.[40] 오비디우스바쿠스/디오니소스 신이 인도 정복에서 돌아와 호랑이가 끄는 황금 마차를 타고 개선 행렬을 벌였다는 선례를 제시했다.[41][42][43] 아리아노스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승리 행렬에 디오니소스적, 로마적 요소를 부여했다.[44] 개선식의 요소들은 에트루리아, 그리스의 선례를 기반으로 했다 (예: 토가 픽타).[44]

왕정 시대 개선식에 대한 기록은 불완전하다 (개선식 축제).[45] 로물루스 이후, 안쿠스 마르키우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순으로 기록되었다. 디오니시우스, 리비우스, 플루타르코스는 로물루스의 개선식에 대해 서로 다른 기록을 남겼다.[45] 누마 폼필리우스에게 개선식을 부여한 기록은 없다.[45]

7. 2. 공화정 시대

로마의 귀족들은 왕정을 폐지하고 집정관 제도를 도입했다. 위기 시에는 독재관을 임명했지만, 왕의 권력과는 거리가 멀었다. 카밀루스는 네 번의 개선식을 받았지만, 추방되었다. 카밀루스의 개선식에서 흰 말 전차 사용이 불쾌감을 유발했다는 기록이 있다.[46] 공화정 장군의 태도와 상징은 귀족들에 의해 면밀히 조사되었다.[47]

중기~후기 공화정 시대에 정복 확대로 개선식은 자기 선전의 기회가 되었다. 포에니 전쟁은 12번의 개선식을 만들어냈다. 공화정 말기에 개선식은 더욱 빈번해지고, 사치스러워지고, 경쟁적이 되었다. 개선식의 조상을 두는 것은 로마 사회와 정치에서 중요했다. 키케로는 일부 개인들이 역사적 전통을 왜곡했다고 언급했다.[49][50][51]

로마 역사가들은 개선식의 과시가 "농민 미덕"을 훼손했다고 보았다.[52] 디오니시우스는 당시의 개선식이 "고대 검소함"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했다.[53] 도덕주의자들은 개선식이 과장된 과시와 얕은 새로움에 대한 욕구를 조장했다고 불평했다. 리비우스는 그나이우스 만리우스 불소의 개선식이 타락의 시작이라고 보았다.[54] 플리니우스는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의 개선식에서 사치가 시작되었다고 보았다.[55]

폼페이우스의 세 번의 개선식은 사치스럽고 논란이 많았다. 첫 번째 개선식은 누미디아의 왕 히아르바스를 상대로 승리한 것에 대한 것이었다.[56] 그의 전차는 코끼리 팀에 의해 끌렸으나, 개선문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컸다.[58] 그의 두 번째 개선식에서 그의 군대에 대한 현금 선물은 기록적이었다고 한다.[60] 세 번째 개선식은 폰토스 왕국의 미트리다테스 6세를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이틀 동안 계속되었다.[61] 플루타르코스는 이 개선식이 폼페이우스가 로마를 대신하여 전 세계를 지배하고, 알렉산드로스를 능가하는 업적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62][63] 플리니우스는 폼페이우스의 흉상이 그의 굴욕과 참수를 예고했다고 기록했다.[64]

7. 3. 제정 시대

카이사르 암살 후, 그의 양아들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는 영구적인 칭호인 ''임페라토르''(imperator)를 획득하고,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와 이름으로 원로원의 영구적인 수장이 되었다. 불과 1년 전, 그는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더 영거가 야전에서 임페라토르로 추대되고, 집정관직을 완전히 수행하지 못한 것을 제외한 모든 전통적인 공화정 자격 요건을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원로원의 개선식 수여를 막았다. 기술적으로, 제정 시대의 장군들은 통치 황제(임페라토르)의 레가투스였다.[65] 아우구스투스는 이 승리를 자신의 것으로 주장했지만, 크라수스에게 두 번째 개선식을 허락했고, 이것은 기원전 27년의 ''파스티''(Fasti)에 기록되어 있다.[66] 크라수스는 또한 이 캠페인에서 얻은 ''spolia opima''를 유피테르 페레트리우스에게 바치는 드문(그리고 기술적으로 그의 경우 허용되는) 영예를 거부당했다.[67]

''파스티 트리움팔레스''(Fasti Triumphales)에 기록된 마지막 개선식은 기원전 19년이다. 그 무렵 개선식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황제 숭배 시스템에 흡수되었고, 여기서 오직 황제만이[68] 최고의 ''임페라토르''로서 그러한 최고의 영예를 받게 되었다. 원로원은 진정한 공화정 스타일로 후보자의 자격을 논의하고 결정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지만, 이것은 형식적인 것에 불과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이데올로기는 아우구스투스가 공화국을 구원하고 회복했으며, 그의 개선식을 영구적인 상태로, 그의 군사적, 정치적, 종교적 리더십을 전례 없는 안정, 평화, 번영의 시대를 이끈 것으로 기념했다. 그 이후로, 황제들은 개선식을 황제의 특권으로 주장했다. 황실 가족 외의 사람들은 클라우디우스 황제 치하의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와 같이 "개선식 장식"(''Ornamenta triumphalia'')이나 오바치오를 받을 수 있었다. 원로원은 여전히 이러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투표했지만, 그 결과는 이미 결정되었을 것이다.[69] 제정 시대에 개선식의 횟수는 급격히 감소했다.[70]

제정 시대 후기의 황제 칭송 연설은 황제의 집정관 취임식, 그리고 황제가 지방을 순회하며 제국의 여러 수도에 공식적으로 "개선"하여 도착하는 ''아드벤투스''와 같은 황실 의식과 개선식 요소를 결합한다. 일부 황제는 끊임없이 이동하며 로마에 거의 또는 전혀 가지 않았다.[71] 기독교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357년, 그의 경쟁자 마그넨티우스를 물리친 지 여러 해가 지나 처음으로 로마에 입성했고, 그의 개선 전차에 "마치 조각상처럼" 서 있었다.[72] 테오도시우스 1세389년 6월 13일 로마에서 찬탈자 마그누스 막시무스에 대한 승리를 축하했다.[73] 클라우디아누스가 호노리우스 황제에게 바친 찬사에는 로마 시와 서방 제국에서 알려진 마지막 공식 개선식이 기록되어 있다.[74][75] 호노리우스 황제는 404년 1월 1일 그의 여섯 번째 집정관직과 함께 이를 축하했고, 그의 장군 스틸리코는 서고트족 왕 알라리크를 폴렌티아 전투와 베로나 전투에서 격파했다.[76] 기독교 순교자 전기에서, 성 텔레마쿠스는 이 개선식에서 관례적인 검투사 경기를 막으려다 폭도에게 순교했고, 그 결과 검투사 경기(''munera gladiatoria'')가 금지되었다.[77][78][79] 그러나 438년, 서방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이 금지를 반복할 이유를 찾았고, 이는 그것이 항상 시행되지는 않았음을 나타낸다.[80]

534년, 비잔틴 제국 시대에 접어든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장군 벨리사리우스에게 "급진적으로 새로운" 기독교와 비잔틴 요소를 포함하는 개선식을 수여했다. 벨리사리우스는 반달 전쟁에서 반달족 지도자 게리메르를 상대로 성공적인 캠페인을 벌여 옛 아프리카 로마 속주를 비잔티움의 지배하에 두었다. 개선식은 동로마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렸다. 벨리사리우스의 군대에 복무했던 역사가인 프로코피우스는 로마 황제 티투스70년예루살렘 성전에서 약탈한 전리품, 특히 성전 메노라를 보여주는 행렬을 묘사한다. 이 보물은 티투스 자신의 개선 퍼레이드에서 전시되고 그의 티투스 개선문에 묘사된 후 로마의 평화 신전에 보관되었고, 그 후 반달족455년 로마 약탈 동안 빼앗았으며, 그 후 벨리사리우스의 캠페인에서 그들에게서 빼앗겼다. 그 물건 자체는 베스파시아누스티투스의 고대 개선식을 떠올리게 할 수도 있었지만, 벨리사리우스와 게리메르는 오바치오처럼 걸었다. 행렬은 유피테르에게 제물을 바치는 로마의 카피톨린 신전에서 끝나지 않고, 기독교 기도를 낭송하고 개선한 장군들이 황제 앞에서 엎드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히포드롬에서 끝났다.[81]

8. 영향

르네상스 시대에 왕과 유력자들은 고대 시대와의 고귀한 연관성을 찾았다. 기벨린 카스트루초 카스트라카니는 1325년 알토파시오 전투에서 구엘프 피렌체 공화국의 군대를 격파했다. 신성 로마 황제 루트비히 4세는 그를 루카 공작으로 임명했고, 도시는 그에게 로마식 개선식을 거행했다. 행렬은 루카의 수호 성인에게 경의를 표하여 촛불을 들고 다니도록 강요받은 피렌체 포로들이 이끌었다. 카스트라카니는 장식된 전차에 서서 뒤따랐다. 그의 전리품에는 피렌체인들의 휴대용 바퀴 달린 제단인 ''카로치오''가 포함되었다.[82]

플라비오 비온도의 ''로마 트리움판스''(1459)는 고대 로마 개선식을 이교도 의례를 벗어난, 신성 로마 황제의 정당한 상속으로 주장했다.[83] 이탈리아 시인 페트라르카의 ''개선''(''I triomfi'')은 고대 로마 텍스트의 개선 테마와 전기를 교양 있고 덕망 있는 통치의 이상으로 묘사했으며, 이는 영향력 있고 널리 읽혔다.[84] 안드레아 만테냐의 대규모 연작 그림인 ''카이사르의 개선''(1484–92, 현재 햄프턴 코트 궁전)은 즉시 유명해졌고 거장 판화 형태로 끝없이 복제되었다.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1512–19) 알브레히트 뒤러를 포함한 일련의 예술가들에게 의뢰한 ''개선 행렬''은 자신이 상상한 개선을 프리즈로 걸 수 있는 일련의 목판화였다.

1550년대에 단편적인 ''개선식 연대기''가 발굴되어 부분적으로 복원되었다. 오노프리오 판비니오의 ''개선식 연대기''는 고대 ''개선식 연대기''가 중단된 부분부터 이어졌다.[85] 판비니오가 기록한 마지막 개선식은 1535년 튀니스 정복 이후인 1536년 4월 5일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로마 왕의 입성이었다.[86][87] 판비니오는 이를 "이교도에 대한" 로마 개선식으로 묘사했다. 황제는 전통적인 고대 경로를 따라 "로마의 군인 황제들의 개선문의 폐허를 지나" 행진했으며, 그곳에서 "고대 원로원 의원 복장을 한 배우들이 새로운 카이사르의 귀환을 'miles christi'(그리스도의 군인)로 환호했습니다."[88]

1550년 앙리 2세루앙에 대한 사치스러운 개선식은 "폼페이의 세 번째 개선식만큼 덜 즐겁고 쾌적하지 않았으며, 부와 외국의 전리품이 풍부했습니다."[89] 1628년 루이 13세의 파리 왕의 입성을 위해 만들어진 개선문에는 폼페이의 묘사가 담겨 있었다.[90]

참조

[1] 서적 A summary of disparate viewpoints regarding the Triumph is in Versnel, 56–93: limited preview via https://books.google[...]
[2] 문서 Versnel, p. 386.
[3] 문서 Beard, p. 77.
[4] 문서 Beard, p. 7.
[5] 서적 Caesar's Calendar: Ancient Time and the Beginnings of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6] 웹사이트 Beard, 72–75. See also Diodorus, 4.5 at Thayer https://penelope.uch[...]
[7] 서적 Beard et al, 85–87: see also Polybius, 10.2.20, who suggests that Scipio's assumption of divine connections (and the personal favour of divine guidance) was unprecedented and seemed suspiciously "Greek" to his more conservative peers.
[8] 문서 See also Galinsky, 106, 126–149, for Heraklean/Herculean associations of Alexander, Scipio, and later triumphing Roman generals.
[9] 문서 Versnel, p. 380.
[10] 문서 Various Roman sources describe the different charms employed against envy during triumphs, not necessarily at the same event; they include an assemblage of miniature bells (Tintinnabulum) and a whip on the chariot's dashboard. In Pliny, a sacred phallos loaned by the Vestal Virgins is slung between the chariot wheels; see Beard, pp. 83–85.
[11] 문서 The very few accounts are from the Imperial era of a public slave (or other figure) who stands behind or near the triumphator to remind him that he "is but mortal" or prompts him to "look behind", and are open to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Nevertheless, they imply a tradition that the triumphing general was publicly reminded of his mortal nature, whatever his kingly appearance, temporary godlike status, or divine associations. See Beard, pp. 85–92.
[12] 뉴스 Emperor Vespasian regretted his triumph because its vast length and slow movement bored him; see Suetonius, Vespasian, 12.
[13] 서적 The "2,700 wagonloads of captured weapons alone, never mind the soldiers and captives and booty" on one day of Aemilius Paulus's triumphal "extravaganza" of 167 BCE is wild exaggeration. Some modern scholarship suggests a procession 7 km long as plausible. See Beard, p. 102.
[14] 문서 Summary based on Versnel, pp. 95–96.
[15] 서적 Beard, pp. 159–161, citing Suetonius, Augustus, 41.1.
[16] 서적 Beard, pp. 93–95, 258. For their joint triumph of 71 CE, Titus and Vespasian treated their soldiers to a very early, and possibly traditional "triumphal breakfast".
[17] 서적 See map, in Beard, p. 334, and discussion on pp. 92–105.
[18] 서적 The location and nature of the Porta Triumphalis are among the most uncertain and disputed aspects of the triumphal route; some sources imply a gate exclusively dedicated to official processions, others a free-standing arch, or the Porta Carmentalis by another name, or any convenient gate in the vicinity. See discussion in Beard, pp. 97–101.
[19] 문서 Sometimes thought to be the same route as the modern Via dei Fori Imperiali
[20] 문서 This is where Jugurtha was starved to death and Vercingetorix was strangled.
[21] 서적 Beard, pp. 258–259; cf Livy's "soldiers feasting as they went" at the triumph of Cincinnatus (458 BCE).
[22] 문서 Beard, p. 49.
[23] 문서 Beard, pp. 263–264.
[24] 문서 Beard pp. 19–21,
[25] 서적 Picturing Roman Belief Systems: The iconography of coins in the Republic and Empire http://dx.doi.org/10[...]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Oxford) Ltd 2023-04-30
[26] 서적 Ancestor Masks and Aristocratic Power in Roman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7] 서적 The Divinity of the Roman Emperor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931
[28] 문서 Beard, pp. 23–25.
[29] 문서 Beard, pp. 22–23.
[30] 간행물 Last Year in Jerusalem: Monuments of the Jewish War in Rome
[31] 문서 Beard, 196−201.
[32] 서적 See discussion in Beard, pp. 199–206, 209–210. Livy's "triumphal laws" hark back to earlier, traditional but probably reinvented triumphs of Republican Rome's expansion to Empire and its defeat of foreign kings; his notion was that triumphal generals must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imperium (Livy, 38.38.4, in the 206 BCE case of Scipio Africanus), but this is contradicted in Polybius 11.33.7 and Pompey's status at his first triumph.
[33] 문서 The tradition was probably an indication of esteem and popularity that triumphal generals in the Republic had been spontaneously proclaimed as imperator by their troops in the field; it was not an absolute requirement (see Beard, p. 275). Taking divine auspices before battle might have been formally reserved to the highest magistrate on the field, while a victory proved that a commander must have pleased the gods – whatever the niceties of his authority. Conversely, a lost battle was a sure sign of religious dereliction; see Veit Rosenberger, "The Gallic Disaster", The Classical Worl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6, 4, 2003, p. 371, note 39.
[34] 서적 Beard, pp. 206–211, citing Valerius Maximus, Memorable Facts and Sayings, 2. 8. 1.
[35] 서적 Ab Urbe Condita
[36] 서적 Beard
[37] 간행물 Antiquitates Romanae
[38] 서적 Inscriptiones Italiae Rome 1947
[39] 간행물 Carmen Arvale
[40] 웹사이트 Romulus (trans. Dryden) http://classics.mit.[...]
[41] 서적 1994
[42] 시 The Erotic Poems
[43] 웹사이트 Historia Naturalis https://www.perseus.[...]
[44] 서적
[45] 서적 Beard
[46] 서적 Beard
[47] 논문 Augustus, Tiberius, and the End of the Roman Triumph https://doi.org/10.1[...] 2020
[48] 서적 Beard
[49] 서적 Brutus
[50] 간행물 Livy
[51] 서적 Beard
[52] 서적 Beard
[53] 간행물 Roman Antiquities
[54] 간행물 Livy
[55] 서적 Beard
[56] 서적 Beard
[57] 간행물 Dio Cassius
[58] 간행물 Historia Naturalis
[59] 서적 Beard
[60] 서적 Beard
[61] 서적 Beard
[62] 서적 Beard
[63] 웹사이트 Sertorius https://penelope.uch[...]
[64] 서적 Beard
[65] 서적 Beard
[66] 웹사이트 Augustan Aristocracy https://books.google[...]
[67] 웹사이트 Crassus Triumph Augustus spolia opima https://books.google[...]
[68] 문서 Very occasionally, a close relative who had glorified the Imperial gens might receive the honor.
[69] 웹사이트 Claudius https://penelope.uch[...] 2012-06-30
[70] 서적 Beard
[71] 문서
[72] 문서
[73] 웹사이트 Theodosius I – Livius https://www.livius.o[...]
[74] 서적 Panegyricus de Sexto Consulatu Honorii Augusti https://penelope.uch[...] 2013-08-21
[75] 문서
[76]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2013-08-21
[77] 서적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http://www.ccel.org/[...] 2013-08-21
[78]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http://www.newadvent[...] 2013-08-21
[79] 서적 Actes and Monuments (a.k.a. Foxe's Book of Martyrs) http://www.ccel.org/[...] 2013-08-21
[80] 서적 Ancient Rome: Life and Art https://books.google[...] Scala Books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De fasti et triumphi Romanorum a Romulo usque ad Carolum V https://books.google[...] Giacomo Strada 2013-08-22
[86] 문서
[87] 간행물 Imperial Ideology in the Triumphal Entry into Lille of Charles V and the Crown Prince (1549) http://www2.tau.ac.i[...]
[88] 서적 Chivalry & the Perfect Prince: Tournaments, Art, and Armor at the Spanish Habsburg Court https://books.google[...]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98] 문서
[99] 문서
[100] 문서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105] 문서
[106] 서적 Beard
[107] 서적 Beard
[108] 서적 Beard
[109] 문서 Via dei Fori Imperiali
[110] 기타
[111] 서적 Beard
[112] 서적 Beard
[113] 서적 Beard
[114] 서적 Beard
[115] 서적 Ancestor Masks and Aristocratic Power in Roman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16] 서적 The Divinity of the Roman Emperor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Arno Press (reprinted) 1931
[117] 서적 Beard
[118] 서적 Beard
[119] 간행물 Last Year in Jerusalem: Monuments of the Jewish War in Rome
[120] 서적 Beard
[121] 서적 Beard
[122] 기타
[123] 기타 Valerius Maximus
[124] 기타 Ab Urbe Condita
[125] 서적 Beard
[126] 기타 Antiquitates Romanae
[127] 서적 Inscriptiones Italiae Rome 1947
[128] 기타
[129] 서적 Beard
[130] 서적 1994
[131] 시 The Erotic Poems
[132] 기타 Historia Naturalis
[133] 기타
[134] 서적 Beard
[135] 서적 Beard
[136] 서적 Beard
[137] 기타 Brutus
[138] 기타 Livy
[139] 서적 Beard
[140] 서적 Beard
[141] 서적 Roman Antiquities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Historia Naturalis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https://books.google[...]
[155] 서적 https://books.google[...]
[156] 문서 Very occasionally, a close relative who had glorified the Imperial gens might receive the honor.
[157] 서적 Lives
[158] 서적
[159] 문서 On triumphal entrances to Rome in the fourth century, see discussion in Schmidt-Hofner, pp. 33–60, and Wienand, pp. 169–197.
[160] 서적
[161] 웹사이트 http://www.livius.or[...]
[162] 서적 Panegyricus de Sexto Consulatu Honorii Augusti https://penelope.uch[...] 2013-08-21
[163] 서적
[164]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2013-08-21
[165] 서적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http://www.ccel.org/[...] 2013-08-21
[166]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http://www.newadvent[...] 2013-08-21
[167] 서적 Actes and Monuments (a.k.a. Foxe's Book of Martyrs) http://www.ccel.org/[...] 2013-08-21
[168] 서적 Ancient Rome: Life and Art https://books.google[...] Scala Books 1983-06-01
[16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